본문 바로가기

소식

  • 교육 2019년 제13기 <국립중앙박물관 창조적 경영 최고위 과정> 모집(마감)
    • 관리자
    • 2019-01-15
  • 2019년 제13기 <국립중앙박물관 창조적 경영 최고위 과정> 모집 안내

        

     * 접수 마감되었습니다.

     

    프로그램명 : 13기 창조적 경영 최고위 과정

     

    연간주제 : ‘남과 북, 이해와 협력의 길

     

    주최/주관 : 국립중앙박물관 · 국립박물관문화재단

     

    교육 장소 :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·전시실 등

     

    지원 자격 : 기업체 경영자 및 임원, 법조계, 의료계, 금융계, 언론계, 학계, 문화·예술계의 고위인사정부기관 고위 공무원, 주요기관의 기관장급 인사

     

    모집 인원 : 40명 내외

     

    교육 기간 : 2019.3.20~11.20, 매주 수요일 | 24

      - [저녁식사] 18:00~19:00 

      - [강의]19:00~20:40

      - [갤러리투어] 20:40~21:20   

     

    교육 회비 : 500만원(부부동반 900만원, 국외 답사비 별도)

     

    모집 기간 : 2019.1.15(화)~3.13(수)

      ※선착순 접수로 모집 기간 내 조기 마감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합격자발표 : 개별안내

     

    등록 기간 : ~2019.3.17(일)

     등록기간 내 회비를 납부하신 분에 한해 참가가 확정됩니다.(현금영수증 발급 가능)

     납부계좌 : 농협 301-0117-9365-41 (예금주: 국립박물관문화재단)

     

    신청 방법 : 온라인 접수

     ※(원서작성 바로가기) http://cfnmk.or.kr/user/education/highest_request.do

     

    문의 : '최고위 과정' 담당자(02-2077-2991, slee@cfnmk.or.kr)

     

    【강의구성

    2019년 <제13기 국립중앙박물관 창조적 경영 최고위 과정> 강의 구성 정보로 차수, 일자, 강의, 갤러리투어 정보를 제공합니다.

     

    일 자

    강 의

    갤러리투어

    1

    3.20()

    한민족 형성 과정에서의 남과 북

    (국립중앙박물관 관장 배기동)

    개강식

    2

    3.27()

    북한의 우리 역사인식 : 북한도 역사를 우리처럼 볼까

    (남북역사학자 협의회 공동위원장 안병우)

    무덤 출토품으로 본 낙랑

    3

    4.3()

    북한의 고구려 문화유산

    (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최광식)

    세계문화유산 고구려 무덤벽화

    4

    4.10()

    일제강점기 고구려 고분의 조사와 항일유격대

    (영남대학교 교수 정인성)

    황금의 나라, 신라

    5

    4.17()

    철원의 태봉국 도성

    (국방문화재연구원 원장 이재)

    삼국 이전 한반도 소국의 형성

    6

    4.27()~28()

    국내 문화유적 답사 1 - 전북 익산

     

    7

    5.8()

    왕건의 후삼국 통일과 고려의 건국

    (국민대학교 교수 박종기)

    <전환의 시대, 근대 서화의 여정>

    8

    5.15()

    북한 문화유적 조사·연구 : 개성 문화유적 남북공동 발굴조사

    (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소장 이상준)

    중생을 구원하는 보살

    9

    5.22()

    임진왜란과 평양성 전투

    (건국대학교 교수 신병주)

    임진왜란 이후 조선 사회의 변화

    10

    5.29()

    남과 북의 3.1운동 인식

    (춘천교육대학교 교수 김정인)

  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 특별 공개

     <황제의 나라에서 국민의 나라로>

    11

    6.5()

    역사 속 백두산 이야기

    (서울시립대학교 교수 배우성)

    손세기, 손창근 기증 명품 서화전 2

    12

    6.12()

    북조선 실록 프로젝트: 북한은 역사를 어떻게 기록하는가

    (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 김광운)

    초상화 뒷면의 이야기

    13

    6.19()

    새로운 패러다임 속의 남북 관계

    (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 최완규)

    통일신라와 고려 선사들의 탑을 찾아서

    -

    7.10()~19()

    국외 문화유적 답사 - 이탈리아

     

    14

    9.4()

    북한의 대중문화 예술

    (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교수 전영선)

    <화가의 시선 - 조선시대 실경산수화>

    15

    9.18()

    북한의 문화·자연자원과 관광 잠재력

    (국립중앙박물관 기획운영단 단장 김철민)

    <마곡사 괘불>

    16

    9.25()

    북한의 현대미술 : 유토피아의 신기루(Mirage)

    (국립중앙박물관 관장 김영나)

    <마 문명의 여명, 에트루리아>

    17

    10.2()

    북한문학과 '사회주의 문명국'의 상상력

    (성균관대학교 교수 김성수)

    서역, 변경의 삶

    18

    10.12()

    국내 문화유적 답사 2 - 강화도

     

    19

    10.16()

    교과서에 안 나오는 북한 교통 이야기

    (한국교통연구원 선임연구원 안병민)

    소장품의 디지털 사진촬영기술

    20

    10.23()

    북한 의료 지원 사업과 의료 시스템

    (연세대학교 국제의료원 원장 인요한)

    <세한도>

    21

    10.30()

    북한 이탈 주민의 한국 생활

    (단국대학교 창업지원단 총괄매니저 이존호)

    <베트남 국립역사박물관 소장품>

    22

    11.6()

    북한의 과학기술 강국 구상

    (북한과학기술연구센터 연구위원 변학문)

    <문명의 얼굴>

    23

    11.13()

    '분단의 섬'이던 비무장지대, 이젠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.

    (경향신문 논설위원 이기환)

    가야사의 국제적 관점

    24

    11.20()

    통일의 의미, 통일 비용, 우리의 미래

    (이화여자대학교 북한학과 교수 조동호)

    수료식



이전글
2019년 상반기 극장 용 2차 수시대관 신청 접수 안내
다음글
공공기관 고객만족도조사 관련 개인정보 이용 안내